정치

북, 우크라전에 특수부대 1만2천명 파병…1천500명 이미 러시아로

차복원 | chabow53@hanmail.net | 2024-10-18 (금) 20:49


, 우크라전에 특수부대 12천명 파병1500명 이미 러시아로

 

국정원 "러 극동에서 적응훈련중조만간 2차 수송 예상"

북한의 첫 대규모 지상군 파병한반도 넘어 세계 안보환경에 파장

 

크게보기

국정원 ", 우크라전 참전특수부대 등 12천명 파병 결정"[연합뉴스 자료사진]

 

.

서울=연합뉴스에 따르면 = 북한이 러시아를 돕기 위해

우크라이나전에 대규모 특수부대 파병을 결정했고

이미 일부는 러시아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

 

북한 지상군의 대규모 파병은 이번이 처음으로,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를 넘어 전 세계의 안보지형에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우려된다
.

 

국가정보원은 18"북한이 지난 8일부터 13일까지

러시아 해군 수송함을 통해 북한 특수부대를 러시아 지역으로

수송하는 것을 포착했다
"면서 "북한군의 참전 개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이미 1500명이 청진·함흥·무수단 인근 지역에서

러시아 태평양함대 소속 상륙함
4척 및 호위함 3척을 이용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1차 이동했다. 조만간 2차 수송 작전이

진행된다고 국정원은 예상했다
.

 

정보소식통은 "북한이 최정예 특수작전부대인 11군단,

소위 폭풍군단 소속 4개 여단 총 12천여명 규모의 병력을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 말했다.


크게보기
 

북한 무기 선적한 러시아 선박

(서울=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지난 8일부터 러시아 파병을 위한
특수부대 병력 이동을 시작했다고 밝히며 위성 사진 등 관련 자료를
18일 공개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작년 8월 이후 현재까지 총 70여 차례에 걸쳐 13,000여개 이상
컨테이너 분량의 포탄ㆍ미사일ㆍ대전차로켓 등 인명 살상 무기를 러시아에 지원한 것으로 평가했다
.

사진은 나진항을 출항하는 북한 무기선적 러시아 선박 레이디 R호를 촬영한
위성 사진
. 2024.10.18 [국가정보원 제공]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은 현재 극동지역 블라디보스토크, 우수리스크,

하바롭스크, 블라고베셴스크 등에 분산돼 러시아 군부대에 주둔 중이다.

이들은 적응 훈련을 마치는 대로 전선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러시아 군복과 러시아제 무기를 지급받았으며,

북한인과 용모가 유사한 시베리아 야쿠티야·부라티야 지역 주민으로 위장한

가짜 신분증도 발급받았다고 국정원은 전했다
.

참전 사실을 숨기려고 러시아군으로 위장한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지난 8월 초 북한 미사일 개발의 핵심인 김정식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이

여러 차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선 인근에 있는

북한산
'KN-23 미사일' 발사장을 방문한 정황을 포착한 후 후속 동향을

주시하다 러시아 군함의 북한군 이송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

 

국정원은 북한이 작년 8월 이후 현재까지 총 70여차례에 걸쳐

컨테이너
13천여개 이상 분량의 포탄·미사일·대전차로켓 등

인명 살상 무기를 러시아에 지원한 것으로 평가했다
.

 

크게보기

김정은, 북한군 제2군단 지휘부 방문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7일 인민군 제2군단 지휘부를 방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지휘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나라를
적국
, 타국이라 부르며 "한국이 주권을 침해하면 물리력을 조건에 구애됨 없이,
거침없이 사용하겠다"고 위협했다. 2024.10.18[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이번 파병은 지난 6월 북러 양국이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에 담긴 군사 개입 조항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이 조약 제4조에는 북러 중 한 나라가 전쟁상태에 처하면 다른 나라는

유엔헌장과 양국 국내법에 준해 자신이 보유한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고 명시돼 있다
.

 

북한군 참전에 따라 북러 양국 간 군사협력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대규모 파병의 반대 급부로 북한이 고대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

핵 추진 잠수함 기술 등 첨단군사기술이 이전될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또 한반도 유사시 러시아의 군사 개입 우려도 현실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크게보기

국정감사 자료찾는 이영수 공군 참모총장

이영수 공군 참모총장이 18일 충남 계룡대 공군 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공군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와 관련 자료를 찾고 있다
. 2024.10.18(계룡=연합뉴스제공)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18일 러시아를 돕기위한 북한의 우크라이나전 파병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장은 이날 계룡대에서 열린 공군본부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병주 의원의 관련 질의에


"(파병했다는) 내용이 사실이라면 심각하게 보고 있다"

"북한군이 참전한다는 것은 위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러시아와 북한의 동맹이 공고화돼 위기로 치닫고 있다"

"정신 바짝 차리고 근무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고,

이 총장은 "잘 알겠다"고 답했다.

 

국가정보원은 이날 "북한이 특수부대 등 4개 여단 총 12천명

규모 병력을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하기로

최근 결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고 밝혔다.(연합뉴스제공)

 

차복원 기자(chabow53@hanmail.net)

저작권자 © 불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유하기
이전   다음
Comments
비밀글

이름

패스워드

© 불탑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