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충청, 강원, 전라, 경남 지역에 있는 ‘조선시대 개인일기’ 172건을 조사하고, 그 목록과 중요일기 27편의 해제(解題)와 시각 자료를 수록한 ‘조선시대 개인일기4 –충청‧강원‧전라‧경남’을 발간하였다.
◇ 조선시대 개인일기4 -충청‧강원‧전라‧경남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개인일기는 솔직하고 자유로운 문장과 필체로 당시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독자를 대상으로 한 기록이 아니므로 대부분이 정형화되지 않은 필체로 기록되어 있다.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이어서 소재 파악 및 내용파악이 어렵지만 저자가 생활한 지역의 명소나 풍속, 교유관계, 일상에 나타난 여러 정치 상황 등 다양한 내용들이 적혀있어 조선시대의 소소한 부분까지 이해할 수 있는 기록이다.
동일한 사건이어도 저자의 시각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에서 찾을 수 없는 사건이 '감재일기(感齋日記)'에는 자세히 기록된 예가 있다. '감재일기' 1609년 1월 24일 이산해(李山海, 1539~1609)가 병이 들어 제대로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는 이유로 사직을 청하자 광해군이 내의원을 보내어 위문하고 사퇴요구를 반려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 부분은 '광해군일기'에는 수록되지 않았고 이산해의 문집에서도 찾을 수 없는 내용으로, 광해군이 이산해를 신임한 정도가 명확히 드러난 사료라고 할 수 있다.
또, '감재일기' 1609년 2월 16일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죽은 이발(李潑, 1544~1589)을 양사(兩司, 사간헌‧사간원)에서 함께 신원을 요청하고자 올린 계사(繫辭)가 수록되어 있는데, '광해군일기'에는 그러한 사실만 수록되었을 뿐 계사가 없어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운데 '감재일기'를 통해 광해군 시기의 역사가 일부 복원될 수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년간 전국에 현존해 있는 조선시대 개인일기의 현황파악을 위해 지역별, 소장처별 목록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조선시대 개인일기1-대구‧경북'(2015), '조선시대 개인일기2–인천‧경기'(2016), '조선시대 개인일기3–서울'(2017)로 발간‧배포하였다.
이번에 발간한 책자는 국공립 도서관과 국내외 연구기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원문은 국립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neich.go.kr,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문의 : 042)860-9114